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클린코드 TIL (24.01.30)

by 진진진또배기 2024. 1. 30.

읽은 범위
3장 함수 
 
기억하고 싶은 내용 

  • 함수를 만드는 첫째 규칙은 '작게!'다. 
  • 중첩구조가 생길만큼 함수가 커져서는 안 된다. 들여쓰기 수준은 1단이나 2단을 넘어서면 안 된다.
  • 함수는 한 가지만을 해야하고, 그 한가지를 잘 해야 한다. 
    • 함수가 '한 가지'만 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의미 있는 이름으로 다른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면 그 함수는 여러 작업을 하는 셈이다. 
  • 길고 서술적인 이름이 짧고 어려운 이름보다 좋다.
  • 함수에서 이상적인 인수 개수는 0개다.
    • 테스트 관점에서 보면 인수는 더 어렵다. 
  • 오류 코드보다 예외를 사용하라! 
    • 오류 코드를 반환하면 호출자는 오류 코드를 곧바로 처리해야 한다는 문제에 부딪힌다. 
    • 반면 오류 코드 대신 예외를 사용하면 오류 처리 코드가 원래 코드에서 분리되므로 코드가 깔끔해진다. 

소감  

  • 1, 2장을 읽으려다가 생각보다 너무 어렵고, 장수가 많은것 같아서 포기했었는데 오늘 맘먹고 보니 생각보다 시간이 덜 걸렸다. 100%는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는 말하고자 하는 바가 이해가 되어서, 다음에 재독할 생각으로 일단은 꾸역꾸역 읽어보려고 한다. 
  • 아자아자 화이팅이다!

 
궁금하거나 잘 이해가 안가는 내용 

  • JUnit이나 Fitnesse 같은 단위 테스트 도구를 써본 적이 없어서 조금 생소했지만, 이번 기회에 '어디서 들어본 용어'에 한 발 더 다가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