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

클린코드 TIL (24.02.03) 읽은 범위 5장 형식 맞추기 기억하고 싶은 내용 적절한 행 길이를 유지하라 소스 파일도 신문기사와 비슷하게 첫 부분은 고차원 개념과 알고리즘을 설명하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의도를 세세하게 묘사한다. 마지막에는 가장 저차원 함수와 세부 내역이 나온다. 빈 행은 새로운 개념을 시작한다는 시각적 단서다 가능하다면 호출하는 함수를 호출되는 함수보다 먼저 배치한다. 그러면 프로그램이 자연스럽게 읽히고, 소스 코드 모듈이 고차원에서 저차원으로 자연스럽게 내려간다. 승수 사이는 공백이 없다. 곱셈은 우선순위가 가장 높기 때문이다. 항 사이에는 공백이 들어간다. 덧셈과 뻴셈은 우선순위가 곱셈보다 낮기 때문이다. 때로는 간단한 if문, 짧은 while문, 짧은 함수에서 들여쓰기 규칙을 무시하고픈 유혹이 생기지만, 이때도.. 2024. 2. 3.
클린코드 TIL (24.01.31) 읽은 범위 4장 주석 기억하고 싶은 내용 나쁜 코드에 주석을 달지 마라. 새로 짜라. 주석은 거짓말을 하니까. 프로그래머들이 주석을 유지하고 보수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니까. 진실은 한곳에만 존재한다. 바로 코드다. 코드만이 자기가 하는 일을 진실되게 말한다. 좋은 주석 법적인 주석, 의도를 설명하는 주석, 결과를 경고하는 주석, TODO 주석 나쁜 주석 같은 이야기를 중복하는 주석, 의무적으로 다는 주석, 있으나 마나 한 주석 소감 예전에 주석을 꼭 달으란 얘기를 많이 들었던 것 같은데... 정말 옛날 이야기였다. 코드로 얘기하자. 궁금하거나 잘 이해가 안가는 내용 어떤 주석이 좋은 주석인가- 에 대해서 살짝 의견이 갈리는 부분도 있어서, 요 부분을 제대로 이해하고 나만의 의견을 갖고 싶다. 최애북틸.. 2024. 1. 31.
클린코드 TIL (24.01.30) 읽은 범위 3장 함수 기억하고 싶은 내용 함수를 만드는 첫째 규칙은 '작게!'다. 중첩구조가 생길만큼 함수가 커져서는 안 된다. 들여쓰기 수준은 1단이나 2단을 넘어서면 안 된다. 함수는 한 가지만을 해야하고, 그 한가지를 잘 해야 한다. 함수가 '한 가지'만 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의미 있는 이름으로 다른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면 그 함수는 여러 작업을 하는 셈이다. 길고 서술적인 이름이 짧고 어려운 이름보다 좋다. 함수에서 이상적인 인수 개수는 0개다. 테스트 관점에서 보면 인수는 더 어렵다. 오류 코드보다 예외를 사용하라! 오류 코드를 반환하면 호출자는 오류 코드를 곧바로 처리해야 한다는 문제에 부딪힌다. 반면 오류 코드 대신 예외를 사용하면 오류 처리 코드가 원래 코드에서 분리되므로 코드가.. 2024. 1. 30.
아자아자 클린코드, 시작이다! 기똥차게 시작한 포폴 만들기를 시원하게 말아먹고...(하지만 끝이 아니다! 재도전 할거지롱~) 시작해보는 챌린지~ 교보e-book으로 구매, 아이패드 뽕좀 뽑으면서 밑줄쳐가며 열심히 읽어봐야겠당! 2024. 1. 26.